본문 바로가기

아는 만큼 보인다/AWS

라즈베리 파이로 아마존 에코만들기

라즈베리파이3 - 아마존 에코 시연


그리고 ...

(Alexa 목소리 좋네요.)


이제, 실습 과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

준비물

1. 라즈베리 파이3 (Raspberry Pi 3 Model B Essential Kit)
    구입정보: 
http://mcuboard.com/shop/goods/goods_view.php?goodsno=8786 
    구입비: 63,200 원

2. USB 마이크
   구입정보: http://shopping.interpark.com/product/productInfo.do?prdNo=4329050615&dispNo=008001
   구입비: 10,000원 (배송비포함)

3. 스피커
   집에 있던 것 사용

4. 오디오 케이블
   구입정보: http://shopping.interpark.com/product/productInfo.do?prdNo=3225070122&dispNo=008001
   구입비: 5,500원 (배송비포함)


스피커 빼고, 나머지 준비물 사는 데 총 78,700원이 들었습니다.

준비한 애들을 모두 합체시킨 모습입니다.


작업

1. 라즈베리 파이3 설정

   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, 작업했던 내역만 나열합니다. 각각의 설명은 구글링 ^^

      - Raspbian O/S Image 설치

      - ssh 허용

      - 원격 데스크탑 허용

      - wifi 설정


   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구동시켰을 때,  아주 작은 리눅스 서버가 생긴 느낌이었습니다. 신기방기!


2. 스피커 연결

   음악파일 하나를 라즈베리 파이에 옮긴 후, play 시켜보았습니다. 잘나오네요. ^^


3. USB 마이크 설치

   라즈베리파이의 USB 포트에 끼우기만 하면 끝.

   그런데 뭔가 허전해요. 내가 산 마이크가 혹시 불량은 아닐까? 

   마이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해봅니다. 아래 주소 참고해 주세요.

   http://neuro.tistory.com/196


4. Alexa 설치

   아마존에서 Github를 통해 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습니다. 아래 주소를 방문하여 차근차근 따라하면 됩니다.

    https://github.com/alexa/alexa-avs-sample-app/wiki/Raspberry-Pi

  

   잘 따라 했다면, 라즈베리파이 상에서 아래 3개 프로세스들이 구동중이게 됩니다.

      - 권한 요청용(access token 교환용) 웹서버 (node.js)

      - 클라우드상에 있는 Alexa Voice Service (AVS)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클라이언트

      - 호출 음성(Alexa) 인식용 프로세스 (호출 구호를 인식하여 alexa를 깨움)

     


이제 Alexa를 불러봅시다. ^^